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확인 방법

by 써치하이 2024. 6. 8.
반응형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feat. 청년 도약 계좌, 복지포인트)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feat. 청년 도약 계좌, 복지포인트)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매달 근로를 하는 경기도 청년들의 취업 의지를 고취시켜주기 위한 정책으로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2년 후 58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통장인데요, 그 수익률

search.iforiyou.com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및 여러 가지 정책의 지원 자격의 소득 요건에는 건강보험료 확인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기준 금액만 알려줄 뿐 이것을 어떻게 확인하는지는 자세히 안내가 안 되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가구원 범위

1. 가구원이란 주민등록표에 같이 등재된 사람입니다. 그 범위는 신청자 청년 본인, 신청자의 (외)조부모를 비롯, 부모, 배우자, 자녀, 형제 및 자매(직계 존비속 및 혈족)이며, 주민등록표 상 동일한 주소지에 살면서 세대만 분리된 경우는 동일 가구원으로 봅니다.
2. 청년 본인 및 배우자, 자녀의 경우에는 신청자 본인과 주민등록을 따로 하고 있더라도 가구원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3. 신청자가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부양자의 건강보험증에 등재된 사람 중  '(외)조부모, 부모, 형제·자매, 형제·자매의 배우자 경우에만 가구원수에 포함됩니다.
만약 청년 본인이 아버지(회사를 다니는 직장 가입자 혹은 자영업 하시는 지역 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돼있는 경우 아버지의 건강보험증에 등재된 사람들을 이 계산에 포함되는 가구원으로 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1. 신청자 본인은 미혼이고 세대를 달리하고 있는 직장가입자 아버지의 건강보험증에 피부양자로 아버지 본인, 어머니, 형, 형의 배우자, 누나, 누나의 배우자, 신청인이 등록이 되어있다면 가구원 수는 7인입니다. 
 
2. 신청자가 주민등록 상 어머니와만 등록이 되어있고,(2인) 아버지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어 있으며 아버지에게 아버지 본인, 어머니, 신청자, 누나, 동생(5인)이 등록이 되어있다면 가구원 수는 5인입니다.
 
3. 신청자가 단독 세대로서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부모님(어머니, 아버지)이 피부양자로 등재되어 있는 경우는 신청자 1인으로 산정합니다.
* 부모님이 사업자 등록증이 있는 경우는 자식과 따로 지역가입자가 되어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직장, 지역, 혼합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확인

위에서 가구원수를 알아보았다면 직장, 지역, 혼합 가입자를 구분해야 합니다.

1. 모두 지역 가입자인 경우

만약 가구원 모두가 지역가입자라면  세대주 이름으로 대표로 고지가 되고 세대주와 세대원 이름으로 각각 확인이 가능하고 이 금액을 지역 가입자 줄에서 해당 가구원 수에 맞춰서 확인을 하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 공단 건강 보험료 확인 바로가기

 
국민 건강보험 공단 홈페이지에 접속 - 로그인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보험료 조회/신청 - 고지내역 조회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의 경우 공고일 기준(2024.05)으로 24년 5월의 고지 금액을 기준으로 하므로 고지금액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지역가입자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세대원 모두 합산하여 세대주에게 고지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합산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2. 모두 직장 가입자인 경우

가구원 모두가 직장 가입자라면 각각의 직장 보험료를 조회해서 이를 합산하고 합산 금액을 중위소득과 비교해야 합니다.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3. 혼합 가입자
가구원내에 지역가입자와 직장 가입자가 섞여있다면 위에서 설명드린 지역 가입자 조회 + 직장 가입자 건강 보험료를 조회해서 이 금액을 합산해서 혼합 가입자 금액과 비교해야 합니다.
 

가구원 건강보험료 납부 총액

 

반응형

.myredbtn{ -webkit-text-size-adjust: 100%; word-break: break-word; background-color: #e00d0d; border-radius: 28px; border: none; display: inline-block; cursor: pointer; color: #faf8f8 !important; font-family: Arial; font-size: 20px; font-weight: 550; text-align: center;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hite-space: nowrap; padding: 10px 35px; box-shadow: 2px 4px 6px #646363; text-shadow: 0px 1px 0px #bb2154; width: 80%; height: 40px; line-height: 40px; overflow: hidden; transition: background 0.3s, transform 0.3s; text-decoration: none; } .myredbtn:hover{ transform: scale(1.05); background-color: #fc6565; text-decoration: underline; }